반응형
단체의 대표자가 근로자의 해고를 결정할 때 선관주의의무 등을 위반하였는지 여부의 판단 기준 ( 2009.02.12, 대법 2008다74895 )
【요 지】단체의 대표자가 근로자를 해고한 경우에 사후에 법원에 의하여 그 해고가 정당하지 못하여 무효라고 판단되었다고 하여 그러한 사유만으로 곧바로 그 해고 당시에 단체의 대표자가 그 임무를 게을리 한 것으로 보아서 대표자 개인이 단체에 대하여 손해배상책임을 부담한다고 볼 수는 없다. 또한, 근로자를 해고할 당시의 객관적 사정이나 근로자에 대한 해고사유의 내용 또는 경중, 근로자에 대하여 해고를 하게 된 경위 등에 비추어 해고할 만한 정당한 사유가 있다고 판단할 상당한 근거가 있고, 이와 아울러 소정의 적법한 절차 등을 거쳐서 해고를 한 경우라면 단체에 대한 선량한 관리자로서의 주의의무 또는 충실의무를 위반하였다고 볼 수 없다. 한편, 이와 같이 단체의 대표자가 근로자를 해고하기로 하는 결정을 함에 있어서 선량한 관리자로서의 주의의무 또는 충실의무를 위반하여 자신의 임무를 게을리 하였는지 여부는 통상의 합리적인 대표자를 기준으로 하여 해고의 사유 및 절차 등에 관한 여러 사정을 종합하여 볼 때 단체의 대표자로서 근로자를 해고하기로 하는 결정을 함에 있어서 간과하여서는 안 될 잘못이 있는지 여부에 따라 판단하여야 한다.
반응형
'총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열사간의 사외파견(전출)의 형태로 충원하여 업무를 수행하게 하는 경우 (0) | 2010.05.04 |
---|---|
근로조건의 결정권이 본사에 일임되어 있을 경우에는 본사에 노사협의회를 (0) | 2010.05.04 |
승무정지 인사권 남용 (0) | 2010.05.04 |
요양 승인 통지 후 합의 사유로 진료비 지급 제한 가능 여부 ( 2009.07.08, (0) | 2010.05.04 |
정규직 근로자로의 전환심사를 받을 정당한 기대와 신뢰가 존재하고 있는 (0) | 2010.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