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고 23

[근로기준법] 부당해고 구제명령 이행에 따른 잠정적인 지위는 불이익처분?

근로기준법상 노동위원회에 구제를 신청할 수 있는 부당해고 등은 구제명령 이행에 따른 잠정적인 지위에 대한 불이익처분까지 포함하는 것은 아니다 (2008.5.15 서울행법 2007구합38998) 【요 지】 사용자는 근로자에게 정당한 이유 없이 해고, 휴직, 정직, 전직, 감봉, 기타 징벌(이하 ‘부당해고 등’이..

해고 2010.07.21

채권추심업체의 운영자를 부당해고로 단정하여 근로기준법 위반 여부 판단

【판시사항】 [1] 사용자의 근로자에 대한 해고가 구 근로기준법 제110조, 제30조 제1항 위반죄에 해당하는지 여부의 판단 방법 [2] 소규모 채권추심업체의 운영자가 채권회수업무 담당직원의 거부로 보수지급기준 변경에 대한 합의가 사실상 불가능해지자 그를 해고한 사안에서, 고용계약 및 보수 체계..

해고 2010.06.28

부당해고에 따른 원직 복직시 부당해고 기간 동안의 임금 산정 질의 ( 2008

부당해고에 따른 원직 복직시 부당해고 기간 동안의 임금 산정 질의 ( 2008.10.31, 근로조건지도과-4843 ) [질 의] - 개 요 해고일 : 2005.12.31일부 원직 복직일 : 2008.10.1일부 -질의 내용 1. 원직 복직된 자의 부당해고 기간 동안 지급되어야 할 임금의 범위는 평균임금으로 산정해야 함을 귀 부의 행정 해석, 법..

해고 2010.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