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감시·단속적 근로자 최저임금 산정 방법 및 법 위반 여부 ( 2008.01.31, 임금근로시간정책팀-300 )
[질 의]
감시·단속적 근로자를 위탁관리하고 있는 아파트관리사무소로 격일 근무 시 점심, 저녁휴게시간 각 1시간과 야간휴게시간 4시간을 주고 있는데 1명당 월 1,000,000원의 용역금액을 주고 있음. 이 경우 야간근무 시 야간근무수당을 반드시 주어야 하는지 여부와 이 금액으로 계약을 계속 유지할 시 최저임금에 위배되는지 여부, 그리고 최저임금에 위배된다면 용역을 준 입주자대표회의에도 책임이 있는지 여부
[회 시]
질의 내용이 명확하지 않아 정확한 답변은 곤란하나 먼저 야간(오후 10:00 ~ 익일 오전 6:00)근로는 시간의 길이에 관한 규제가 아니라 시간의 위치에 따른 규제로 보아 동 시간대의 근무 시 야간근로가산수당을 지급하여야 함.
한편, 위 근로조건의 근로자에게 지급하여야 할 월 평균 최저임금액은 917,367원(일 임금지급기준시간 20시간×3,016원(20% 감액적용)×365일×0.5(격일분)/12개월, 참고로 일 임금기준시간(20시간)은 하루 24시간 중 휴게시간 6시간을 공제하고 야간근로가산시간 2시간을 합한 것임)이므로 근로자에게 실제 지급되는 금액이 이를 상회한다면 「최저임금법」에 위반되지 아니함
또한, 도급인의 연대책임에 대해서는「최저임금법」제6조제6항을 참고하시기 바람.
반응형
'상담내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육아 휴직자의 정리 해고 가능 여부 ( 2008.01.03, 근로기준팀-51 ) (0) | 2010.04.27 |
---|---|
도급계약기간 중 최저임금 적용 시 연대책임 여부 ( 2008.01.31, 임금근로 (0) | 2010.04.27 |
파견근로자의 임금지급에 대한 사용자 책임은? ( 2008.02.05, 비정규직대책파견근로자의 임금지급에 대한 사용자 책임은? ( 2008.02.05, 비정규직대책팀-268 ) (0) | 2010.04.27 |
파견기간에서 출산 또는 육아휴직기간이 제외되는 것인지? ( 2008.04.02, (0) | 2010.04.27 |
탄력적 근로시간제 시행 관련 근로자대표의 적정성 여부 ( 2008.04.29, 근 (0) | 2010.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