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 휴직자의 정리 해고 가능 여부 ( 2008.01.03, 근로기준팀-51 )
[질 의]
1. 경영상의 이유로 정리 해고시 해고 대상자 선정에 있어 근기법에서는 육아 휴직자에 대한 해고제한 규정은 없으나, 남여고용평등법의 19조 3항이 경영상의 이유에 의한 정리 해고시 해고 대상에 포함할 수 없다는 해고 제한의 내용인지(경영 악화로 일부 사업 부분/부서를 폐지함 : 정리 해고의 요건/합리적이고 공정한 기준에 의한 대상자 선정 여부 등은 변론으로 함)
2. 만약 육아 휴직 기간 중 정리 해고를 할 수 없다면 평가 기준에 의해 해고 대상자가 된다면 육아 휴직 기간 중 해고 예고를 한 수 해고 일자를 육아 휴직 기간이 종료된 날 이후로 한다면 문제가 없는지
[회 시]
1. 질의 1에 대하여
남녀고용평등법 제19조 제3항은 ‘사업주는 육아 휴직을 이유로 해고 그 밖의 불리한 처우를 하여서는 아니 되며, 육아 휴직 기간 중은 당해 근로자를 해고하지 못한다. 다만, 사업을 계속할 수 없는 경우는 그러하지 아니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동 조항의 취지는 근로자가 자녀 양육으로 인하여 취업을 중단하거나, 퇴직하여야 하는 현실을 감안하여 자녀 양육에 대한 국가적·사회적 책임을 법으로 규정하여 사용자에게 근로자를 해고할 만한 정당한 사유가 있더라도 그 해당 기간에는 해고(정리해고 포함)할 수 없도록 한 것입니다.
따라서 정리 해고 대상자로 선정될 만한 객관적이고 정당한 사유가 있다하더라도 사업을 계속할 수 없게 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육아 휴직 중인 근로자를 정리 해고할 수 없습니다.
2. 질의 2에 대하여
육아 휴직 중인 근로자를 정리 해고할 수 없으나, 해고 예고까지 할 수 없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는 해고의 정당한 이유가 있을 경우 동 기간 중에 해고 예고를 하여 근로자가 재취업을 위한 준비를 하도록 하고, 기간 만료 후에 해고를 하는 것은 가능하다고 사료됩니다(근로기준과-5784, 2004.8.18 참조)
'상담내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설] 근로기간이 1년 미만인 근로자의 연차유급휴가 (0) | 2010.04.28 |
---|---|
취업규칙 관련 질의 ( 2007.12.26, 근로기준팀-8936 ) (0) | 2010.04.27 |
도급계약기간 중 최저임금 적용 시 연대책임 여부 ( 2008.01.31, 임금근로 (0) | 2010.04.27 |
감시·단속적 근로자 최저임금 산정 방법 및 법 위반 여부 ( 2008.01.31, (0) | 2010.04.27 |
파견근로자의 임금지급에 대한 사용자 책임은? ( 2008.02.05, 비정규직대책파견근로자의 임금지급에 대한 사용자 책임은? ( 2008.02.05, 비정규직대책팀-268 ) (0) | 2010.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