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야근하는 당신, 제대로 보상받고 있는가?
혹시 눈치보며 휴가계를 올린 적은 없는가?
아마 대부분의 직장인들은 야근과 눈치 휴가를 숙명(?)으로 받아들일 것이다.
그렇다 회사는 근로기준법을 알려주지 않는다.
본인들도 괜히 복잡해 보이는 법 이야기에는 별로 관심이 없다.
그러나 근로기준법에 대해 알아두면 피가 되고 살이 된다.
근로기준법은 복잡하거나 어렵지 않다.
근로기준법은 근로계약, 임금, 안전과 보건, 재해보상, 취업규칙 등이 총 12장에 걸쳐 제정되어 있다.
처음 직장을 갖거가 이직을 할 때 작성하는 근로계약서에는
임금, 근로 시간, 휴일, 연차 유급휴가, 그밖에 근로 조건을 의무적으로 명시해야 한다.
만약 근로 조건과 계약서의 내용이 다를 경우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근로자의 근무 시간은 일주일간 휴식 시간을 제외하고 40시간을 초과할 수 없으니
1일 8시간 정도의 근무 시간을 준수해야 한다.
하지만 부득이하게 야근이나 초과 근무를 해야 한다면 탄력적 근로시간제를 적용해야 한다.
단, 이 경우에도 주당 48시간을 초과할 수 없다.
근로자가 사업주와 사전 합의할 경우 근무 시간을 조정할 수 있는데
주당 52시간, 1일 12시간을 초과할 수 없다.
또한 초과 근무에 대해서는 임금 보전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1년간 80%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 15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는 연차 유급휴가에 대한 조항이 있다.
또한 1년 이상 근무하면 매 2년마다 연차 휴가를 하루씩 늘려 주어야 하는데
총 휴가 일수는 25일을 넘지 못한다.
근무 기간이 1년 미만일 경우 1개월 동안 빠지지 않고 근무하면 1일의 유급휴가를 받을 수 있다.
이 외에도 근로기준법에는 직장인의 권리보호를 위한 다양한 조항들이 마련되어있다.
근로기준법은 근로자의 기본 생활권을 영위할 수 있도록
사업주가 지켜야 할 것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근로기준법 이하의 사규는 만들 수 없다.
당신이 하늘에 한점 부끄럼 없이 업무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면
당당하게 권리를 내세울 수 있다.
단 회사 사정을 염두에 두고 구너리를 주장하는 현명함을 발휘해야 할 것이다.
'연차휴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차휴가] 퇴직과 연차휴가 미사용수당 (0) | 2010.05.16 |
---|---|
[연차휴가] 연차휴가관련 지침 (0) | 2010.05.16 |
장기요양자에 대한 연차유급휴가 적용여부 ( 2005.07.14, 근로기준과-3733 (0) | 2010.04.29 |
요양으로 휴업한 자에 대한 년차 유급휴가 적용 여부 ( 2005.07.26, 근로기 (0) | 2010.04.29 |
연차휴가 사용시 대직자를 정하여 승인을 득한 후에만 휴가를 사용할 수 있 (0) | 2010.04.29 |